TeX System 선택과 변경

이 페이지는 최근 KTUG(Korean TeX User Group)가 만들어 배포하는 KC2008과 관련해서 몇 가지 일반인들이 알아두면 좋을 것 같은 내용을 정리해 둔다.

CategoryTeX

역사

우리나라에서 TeX은 꽤 오래동안 사용되었다. 일반인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학계에서는 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한 1980년대 말 부터 꾸준히 사용되었고,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시도는 몇몇 선구자들의 노력과 그 뒤를 이은 여러 사람들의 꾸준한 뒷받침으로 현재는 남부럽지 않은 환경을 자랑할 수 있게 되었다.

자세한 역사는 본인들이 적도록 미루어 둘까?

TeX System의 종류

  1. 나는 얼마나 많은 TeX System이 있는지 모른다. 상용이 있고, free software가 있으며 어떤 것은 없어졌고 어떤 것은 새로 생겼다.
  2. 최근(2008년도)의 현황은 몇 가지 TeX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을 생각하면 MikTeX, teTeX, TeXLive 등의 이름이 생각난다. 내 경험으로 Linux에 깔려있는 TeX과 Window용으로 제공되는 것 등에서 나온 것이다.
  3. 이것을 어느 OS에서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여러 형태의 모양이 생긴다.

현황

현재(2008년) 수학계의 TeX은 아마도 대부분 MikTeX+WinEdt일 것이다. 이것은 위의 선각자들이 10년정도 전 부터 꾸준히 이 시스템에 투자해 온 결과이다. 그러나 이 선각자들은 최근에 이 선택을 버렸다. 그 이유는 한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너무 많은 노력과 사후 AS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완전히 개인적인 봉사를 통한 TeX System의 AS 필요성이 계속 증가하게 되니 이런 노력을 계속할 수 있는 사람은 없고 따라서 봉사 방법을 바꿀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이들은 상당히 완벽한 한글 TeX System을 개발하고 AS를 최소한으로 줄이기로 한 것 같다. 이의 결실이 KC2006에서 시작되어 KC2007과 KC2008로 이어지는 한글 TeX System이다. 최근의 KC2007이나 KC2008은 거의 아무런 셋팅이 필요 없이 단지 파일을 받아서 깔면 바로 한글 TeX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텍의 선택

결국 우리 같은 일반인들은 MikTeX+WinEdt를 사용할 것인가 아니면 KC2008이 제공하는 Complete package를 사용할 것인가의 양자 택일 밖에는 방법이 없다. 사실 그 반대로 예전에는 하나 밖에 없던 선택권이 두 개로 늘어난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면 어떤 것을 택하는 것이 좋은가? (이 물음의 배경에는 한 System에는 단 하나의 TeX만을 깔아 쓸 수 있다는 것이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 언젠가 여러 텍을 깔고 때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게 되면 이런 문제는 다 없어질지도 모른다.)

KTUG의 봉사자들은 물론 자신들이 개발한 KC2008을 절대적으로 권한다. 그리고 그러지 않으면 안 되는 여러 가지 이유를 써 놓았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의 입장에서 이를 이해해야 한다. 내가 보는 바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보통 사람들이 필요한/사용하는 것

우리 같은 사람이 사용할 때 우리는 TeX System이 얼마나 좋은가는 별 상관이 없다. 어느 것이나 내가 사용하기에는 너무 좋다. 다음과 같은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1. Editor가 얼마나 편리한가?
  2. 한글을 쓸 수 있는가?
  3. 설치가 얼마나 편리한가?
  4. 이 시스템이 얼마나 오랫동안 내 손에 남아있을 것인가?
  5. 몇 가지 technical하지만 내게 중요한 문제들:
    • 예를 들어 pdf로 output을 만들었을 때, 장, 절의 제목이 책갈피 등에 잘 나타나는 것이 중요한가?
    • pdf output 본문의 내용을 복사하여 다른 곳에 직접 쓸 수 있는가?
    • 파일을 compile하면 곧바로 pdf파일을 refresh하여 주는가. Adobe reader처럼 한번 닫고 다시 여는 수고가 필요 없는가?

비교

이러한 점에서 위의 두 시스템을 비교하여 보자.

  1. MikTeX+WinEdt는 Editor의 편리성에서 가장 탁월하다. 아마도 모든 사람이 TeX 용 editor는 이랬으면 하고 바랄 것이다. (WinEdt를 깔면 곧바로 MikTeX에 바로 맞게 설치된다.) 모든 점이 다 좋지는 않지만 총체적으로 이만큼 편리한 것은 아직 없다. KC2008의 Notepad++은 아직 별로 사용해 보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Editor는 충분히 될 것이다. (NP++은 KC2008에 특화되어 있다. 자동으로 깔리며 설정없이 곧바로 쓸 수 있다.)
  2. 한글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WinEdt도 MikTeX도 모두 KC에 좀 뒤진다. 수학하는 사람들은 별로 못 느낄지도 모르지만 문과쪽에서는 이런 차이에 민감한지도 모른다. 많은 한글 글자를 쓸 수 없는 예전의 한글 코드를 사용하는 hlatex은 문제가 많고, 이런 것을 보완한 unicode를 사용하면 WinEdt가 완벽하게 처리하지 못한다. 특히 모든 우리 글자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는데도 이것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비록 자주 쓰이는 글자가 아니더라도 원칙상 용납하기 힘들다.(조합형을 고집하던, 그리고 아직도 세벌식을 사용하는 수학자의 생각이다.)
  3. 설치의 편리성은 한글 TeX의 개발자에게 달렸다. 몇 년 전의 MikTeX에 한글 TeX을 깔던 것을 기억해 보면 지금은 눈감고 까는 것이다. 아마 MikTeX에 까는 것도 이제는 그럴 것이다. 패키지만 만들어 준다면… 문제는 KTUG는 이제 MikTeX용 한글 텍 패키지는 만들지 않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러니 이 부분은 아마도 절대적으로 KC의 우세가 될 것이다.
  4. 이 문제는 전적으로 한글 TeX 개발자에게 달려 있다. 나중에 짚어보자.
  5. 이 부분과 이것 보다 더 Technical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KTUGTeX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이유의 대부분은 아직 내게 꼭 필요한 것이라고 느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언제 필요하게 될지는 알 수 없지… 그러나 위의 언급된 세 가지 문제는 수학자에게도 어느 정도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점이다.

이 밖에 최근의 TeX의 성과는 editor와 pdf 파일 사이의 synchronization이다. 즉 양쪽에서 찾아가기가 아주 잘 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dvi 파일과 ps 파일은 꼭 필요한 경우를 빼고는 obsolete하다고 하게 되었다.

나의 선택

어느 것을 선택하는가는 전적으로 자신의 문제이지만 나는 KC쪽을 선택했다. (이미 3년쯤 전의 일이다.) 물론 단점도 있다. 내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KC2008의 조합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답도 없지만 ”’그대로 계속되는 것을 기대하기 힘들다”’ 이다. 그 이유는 기본적으로 editor와 pdfviewer를 freeware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발이 중단되거나 더 좋은 것이 나오면 변경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MacTeX의 TeXShop과 같이 KC team이 자체 개발 editor와 viewer를 만들기 전에는 알 수 없다. 그래도 KCmenu와 같이 사용이 편리한 보조도구 정도만 있어도 에디터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난 2년 동안은 EmEditor에 MTeXHelper를 깔고 있었지만 결국은 KCmenu를 사용했다.)

TeX 부분은 현재의 TeXLive로 당분간은 확실히 지속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바뀌어도 문제가 없다. 나는 사용하는 동안 TeX이 어떤 것인지를 느끼는 일은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전적으로 한글 TeX 개발자가 편리한 것으로 선택할 문제이다. 단지 1년에 한번씩 TeX을 다 밀고 새로 깔아라 하지만 않으면 된다. 사실 MacTeX+TeXShop 정도면 매년 다시 깔라고 해도 별 걱정이 없다.

따라서 편리한 Editor가 원하는 것을 다 해주면 된다. ”’내가 보기에는 지금 같이 나간다면 조만간에 WinEdt는 내가 원하는 것을 제대로 해 주지 못할 것 같다. KC team은 MikTeX이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제대로 해 주지 못한다고 결정했다고 보인다.”’

바꾸기

MikTeX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TeX을 바꾸라고 하면 MikTeX을 어떻게 떠나나? 새 TeX을 어떻게 사용하나 하고 걱정한다. 이 말이 무슨 뜻인지는 알지만 정확히 말하면 TeX은 아무 것을 써도 그 사람들은 모른다. 그 사람들의 걱정은 새 editor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것은 말이 된다.

그러면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해 두어야 한다.

새로운 Editor는 내가 사용하는 부분이 얼마나 생소한가? 이것 밖에 다른 것은 없다. KC를 쓰려면 Notepad++의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HTML(<font color=blue>최근의 KC2008Plus TeXLive2009 등은 TeXWorks라는 좋은 에디터+플랫폼을 제공한다.</font>))

viewer는 얼마나 예쁜가가 문제가 되지만 tex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편리하면 예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할 것이다. KC의 sumatraPDF 가 얼마나 재빨리 file을 refresh하는가와 search/inverse search가 잘 되는가 만이 문제일 것이고 오늘의 KC2008에서 이것은 정말 잘 된다가 답이다. 물론 WinEdt도 잘 될지도 모르지만… 따라서 아무것을 써도 된다.

나는 꽤 TeX을 오래 사용했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다음과 같은 것이다.

  1. editing의 기본적인 기능이 있으면 된다: 대부분의 기본 기능은 모든 editor가 갖추고 있다. WinEdt나 EmEditor나 다른 것들이나 모두 차이가 없다. 기껏 가 봐야 search and replace 정도이다. 최근에 TeXShop에서 highlight한 블록의 모든 줄의 맨 앞에 %를 붙였다 뗐다 하는 기능을 보았다. 매우 편리하다. 다른 것들도 이런 것을 할 수 있게 했으면 좋겠다. 아마 plugin이라도 있겠지…
    • %를 붙이는 것을 나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나는 TeX의 novice이다. 따라서 option이나 package의 충돌 같은 것은 잘 모른다. 그런데 이런 것을 만날 때도 있다. 에러가 나면 어떻게 하는가?
      1. 우선 에러가 난 줄에 가서 중괄호가 잘 맞는가? 달러 표시가 개수가 맞는가를 본다.
      2. 일견해서 수식 명령에 잘못이 없어보이면 그 다음에는 무엇때문에 에러가 난 것인지를 찾는다. 이를 제대로 하려면 에러를 만든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넣었다 뺐다하고 컴파일해 본다. 예를 들면 includegraphics 부분을 제거한 것과 넣은 것의 차이를 본다. 여기서 에러가 났다 안 났다 한다면 이 부분에 문제가 있는 것이 틀림없다. 이 때 블록을 잡고 이 전체에 %기호를 한꺼번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으면 편하다.
      3. 이렇게 해서 발견하면 이 부분만 세밀히 검토한다. 따로 복사해서 다른 파일로 컴파일해 보기도 한다.
      4. preamble을 간단히 하고 컴파일되는데 내것에서 안된다면 어떤 패키지나 옵션이 잘못된 것이다. 이제는 KTUG에 물어봐야 한다.
  2. shorcut key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컴파일할 때 shorcut key가 있으면 가장 좋다. 없으면 버튼이라도 있어야 한다. 이것은 kcmenu정도로도 되었다. WinEdt도 비슷한 정도이다. EmEditor도 MTeXHelper만 깔면 똑같이 할 수 있다. 이것들은 거의 같다. 그런데 KC2008의 Notepad++은 Shortcut이 있다. F6나 F5, F7이 컴파일하고 보여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이 가장 편리한 기능이라서 좋다.
  3. 나는 잘은 안 쓰지만 혹시 수식을 넣는 template 기능이 있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나는 많이 쓰는 것 몇 개만 외우고 사용하며 가끔 책을 뒤져 보지만 이것이 싫으면야… WinEdt가 이게 좀 잘 되어 있었던 것 같다.
  4. EmEditor에서는 좋았다 만 기능이 있다. autocompletion(?)인가 하는 것이다. \begin{enumerate}를 치기 시작하면 다 치기 전에 자동으로 이런 명령을 모두 보여준다. 그리고 이것을 선택하면 \end 부분도 자동으로 채우고 그 사이에 커서를 가져다 놓는다. 이것은 꽤 편리하고 마음을 끄는 장치이다. 그런데 EmEditor는 한 가지 문제가 있었다. 이렇게 쳐 나가는데 내가 입력하려는 것은 내가 정의한 환경이고 EmEditor는 모르는 환경일 때 (예를 들어 \begin{enumm}이라면) 그래서 내가 입력한 것이 자기 사전에 없으면 자동으로 자동입력창을 해제하고 본문으로 돌아가 주면 좋겠는데 이것이 esc나 enter를 누를 때까지 기다린다. 문제는 내가 본문만 보면서 입력을 하고 있으면 이 창이 열린 것을 보지 못하고 계속해서 입력하게 되는데 그러면 자동입력 창에 계속 입력하고 있게 된다. 이것때문에 거추장스러워서 자동입력을 활용하지 못했다.
  5. 이 밖에 뭐가 더 있을까?

그러니까 TeX System을 바꾼다면 무엇을 하는가? 다른 것은 다 필요 없다. 설치하고 나면 Editor를 잘 쓰게 만들면 된다. 나는 Notepad++을 사용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이 할 것 같다.

  1. shortcut key 몇 개가 하는 일을 적은 sticker를 책상 앞에 불여 놓는다.

이 밖에 필요한 것은 없다. 어쩌면 TeX 용으로 WikiSandBox와 같은 페이지를 하나 만들어 두면 template 대용은 충분할 것이다. 언제 생각나면 내 wiki에 하나 만들어 두자.

<#00B050> ”’시스템”’ ”’TeXShop”’ ”’KCmenu이용”’ ”’Notepad++”’
저장     Ctrl+S
에디터에서 위치이동     PgUp, PgDn, 화살표들
잘라 붙이기 등 Cmd+C, Cmd+V, 가끔 Cmd+X   Ctrl+C, Ctrl+V, 가끔 Ctrl+X
highlighting     Shift+(PgUp 등)과 Shift+Click
컴파일 Cmd+T Alt+Tab 후 mouse Click F6, F7
Search/I-Search Cmd+Click   F7/Double-click
Viewer를 부를 때     F7
Viewer에서 스크롤     PgUp, PgDn, 그리고 mouse scroller wheel
Block % 붙이기 Shift+Cmd+{(})   Ctrl+K, Shift+Ctl+K
window 사이 이동 Cmt+Tab, Cmd+`, Cmd+1   Alt+Tab

이 테이블에 TeXWorks용 shortcut key를 넣었으면…

내가 그동안 TeX을 사용한 방법

내가 한 20년 남짓 TeX을 사용하는 동안에 많은 점이 바뀌었다. 그러나 나는 이 기간 동안 항상 가장 선구자적인 novice로서 TeX을 사용했다. 즉 조금 어려운 곳에는 들어가지 않았지만 초보자로서 해볼 수 있는 것은 거의 다 해보았다고 할 수 있겠다. 물론 수학자의 영역에서이며 이 밖으로는 거의 나가보지 않았다. 도은이아빠의 musictex을 한 번쯤 해본 것을 제외하고는 화학의 벤젠고리 한 번도 만들어본 일이 없다.

따라서 내가 사용한 방법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보통 사람들은 이것보다 조금 더 낮은 단계에 경계를 세워 두고 더 이상 들어오지 않는다. 이것은 TeX의 설계자가 잘 알아두어야할 사실이다.(사실은 거의 Editor의 설계자에게 필요한 내용이다.) – 내가 그들보다 조금 더 많은 것을 해 보았다면 단지 한 가지 마우스의 사용이 계속되면 팔목과 어깨의 통증을 가져오는 것이 싫어서 몇 가지 나름대로의 방법을 찾는 과정을 더했다는 정도이다.

10년 전 까지

  • 초창기에는 XT에 HDD 없이 두 장의 5.25inch floppy disk로 부트 하고 tex 돌리고 내 데이터 파일 넣고를 반복하며 사용하였다. 이렇게 9pin dot printer로 한 페이지에 40분씩 걸려서 찍은 논문이 87년도엔가 대우 workshop proceeding에 나와 있다. 이 논문집에는 TeX을 사용한 논문이 3개나 있다. 이 때는 한글은 전혀 없었다. (삼보 보석글을 쓰던 시절)
  • 조금 후에 고 백정선 교수의 한글TeX이 있었던가보지만 본 적이 없다. 내가 처음 본 것은 Kaist의 고기형 교수(나는 이런 유명한 사람과 대학 동기이다)가 학생들을 데리고 만든 한글TeX이었고 상당히 오래 잘 사용했다. 초기 PC버젼은 두번 정도만 돌리면 메모리가 잘 지워지지 않아서 다시 부트하곤 했지만… 그리고 font의 라이센스 문제로 판매할 책은 만들지 말라는 주의를 들었었다.
  • 조금 더 지나서 은광희님의 hlatex이 돌아다니기 시작했고 이 때부터 이것을 사용했다. 초기에는 linux에서 썼다. 따라서 emacs와 hanterm, gv를 사용했다. 이렇게 몇년을 썼고 이것에 상당히 익숙해졌다. 이런 경험 때문에 꼭 버튼을 고집하지 않는다.
  • 이 상황에서 익힌 것은 linux에서 터미널 화면 2개와 viewer를 열어놓고 edit+save하면 다음 창에서 compile하고 viewer로 갔다가 editor로 돌아오는 것의 반복이고 이 반복이 편하게 창을 돌아다니는 shortcut을 처음 익혔다. linux는 간단히 mouse만 올려놓으면 그 창이 활성화되게 할 수 있어서 편했고 나중에 PC로 돌아온 후에는 Alt+Tab을 사용한다. 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키이다. 현재 Mac에서는 Cmd+Tab/Cmd+`이다. terminal(또는 도스창)에서는 한 번 잘 명령을 내려 놓으면 화살표를 가지고 같은 명령을 반복해서 부를 수 있다. 보통 terminal에서 한 번에 compile(latex, dvips) 그리고 viewer 부르기 세 개를 반복해서 하니까 매 번 위쪽 화살표를 세 번 치고 엔터 한 번의 반복이고 이것은 매우 쉽다. 여기서 배운 것이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마우스를 사용하여 오래 작업하면 꼭 팔이 아프다.

약 10년 전부터 3년 전까지

  • 이 시절은 대략 MikTeX과 WinEdt의 시절이다. 언젠가 이런 텍이 있다는 것을 듣게 되었고 사용해 보니 꽤 편했다. 처음에는 linux에 비하여 별로 편하지 않았지만 사방에서 이것을 사용하니 나도 이것을 쓰게 되었다. 그래도 TeXify 버튼을 쓴 적은 한 번도 없다. 대부분 LaTeX, dvips 버튼 등을 썼다. search/inversesearch도 한참 나중에야 알았고 사용해 본 적은 없다.
  • Error message를 보면 line number를 보고 editor에서 찾았고 dvi까지 가서 찾으러 가는 일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editor에 line number가 보이면 아주 좋다. 현재 Mac의 TeXShop은 이것을 안 보여준다. 조금 불편하다. 특히 이것을 고치라고 comment할 때 line number를 몰라서 불편하다. 이 시절에도 Ctrl+F5, Ctrl+F10 같은 키를 사용했었던 것 같다. 오래 되어서 가물가물하다.
    • (2009/01/27) 어제 mailing list로 알게된 새 버젼의 TeXShop 2.20은 line number를 보여준다. 자동 업데이트도 생기고…
  • 이 당시 한글 TeX에서 기억나는 것은 설치이다. 당시 조진환교수가 만들어주는 설치 설명서를 읽고 한글 파일들을 깔고 map파일을 고치고 하면서 몇 번의 실패를 한 후에야 TeX이 돌아갔었고 어떤 교수님은 누군가가 다 깔면 그것을 고대로 묶어서 갖다 풀던가 해서 사용했다. 당시 수학과의 전산조교의 가장 큰 임무는 여러 PC에 TeX 시스템을 관리하는 것이었다.

최근 3년

  • 최근 3년 동안 나는 KC system을 썼다. 처음에는 설치에 실패하는 일도 있었고 설명서를 잘 읽어야 했지만 조만간에 이런 것은 다 없어졌다. 도스창을 사용하던 방법도 대충 KCmenu에 익숙해졌다. 여전히 Alt+Tab과 마우스의 조합으로 재빨리 일을 처리할 수 있다. 노트북 같이 좁은 화면에서도 아무 문제가 없다.

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키

이것은 TeX을 사용하는데 꼭 사용되는 키이다. 이것은 editing과 수정을 반복할 때가 문제이며, 생각하며 입력하거나 구상하거나 할 때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이 밖의 키는 거의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 Editor에서는 몇 가지가 있다.
    1. 저장: 보통 Ctrl+S
    2. PgUp, PgDn, 화살표들
    3. 잘라 붙이기 등: Ctrl+C, Ctrl+V, 가끔 Ctrl+X: 이것을 마우스로 하면 팔이 너무 힘들다.
    4. highlighting: Shift+PgUp 등: 이것도 마우스보다는 이게 낫다.
  • 컴파일할 때
    1. 현재의 Mac TeXShop에서는 Cmd+T
    2. KCmenu에서는 Alt+Tab 후 mouse Click
    3. 새 Notepad++에서는 F6, F7
    4. 그리고 synctex용 버튼 (Mac은 양쪽 다 Cmd+Click, KC는 F7/Double-click)
  • Viewer를 부를 때 필요한 버튼 하나. 요새는 한 번만 부르면 되니까 거의 필요 없다. (Mac의 TeXShop, Win의 sumatraPDF)
  • Viewer를 볼 때는 PgUp, PgDn, 그리고 mouse scroller wheel.
<#00B050> ”’시스템”’ ”’TeXShop”’ ”’KCmenu이용”’ ”’Notepad++”’
저장     Ctrl+S
에디터에서 위치이동     PgUp, PgDn, 화살표들
잘라 붙이기 등 Cmd+C, Cmd+V, 가끔 Cmd+X   Ctrl+C, Ctrl+V, 가끔 Ctrl+X
highlighting     Shift+(PgUp 등)과 Shift+Click
컴파일 Cmd+T Alt+Tab 후 mouse Click F6, F7
Search/I-Search Cmd+Click   F7/Double-click
Viewer를 부를 때     F7
Viewer에서 스크롤     PgUp, PgDn, 그리고 mouse scroller wheel
Block % 붙이기 Shift+Cmd+{(})   Ctrl+K, Shift+Ctl+K
window 사이 이동 Cmt+Tab, Cmd+`, Cmd+1   Alt+Tab

KC team에 대한 건의

현재 KTUG의 위키 페이지는 방대한 분량이 상당히 잘 정리되어 있다. 나는 TeX editing을 할 때 항상 이 페이지를 열어놓고 한다. 그러나 일반인은 이것보다 더 자세한 설명을 찾고 싶어한다. 하지만 LaTeX Companion을 옆에 놓고 하기는 싫어한다.

사람들 말은 sample이 좀 더 많았으면 한다. 이것은 사실 샘플보다는 위의 WikiSandBox 같은 페이지를 말하는 것일 것이다. 수식, 기호, 테이블 등등의 template를 winedt의 그것 처럼 source와 output을 병행하던가 해서 몇 개의 wiki 페이지로 만들면 좋겠다…. TeXSandBox나 TeXSampleBox 같은 것이면 좋겠다. 더 좋은 이름 없을까?


CategoryTeX

Feed Back

내용 잘 읽었습니다. wiki는 누구나가 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필요한 페이지를 만들어서 몇자 적기 시작하시면 다른 분들이 같이 키워(?) 주실 거라 믿습니다. – hermian

내용 잘 읽었습니다. 하부에서 돌아가는 TeX system이 무엇이냐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마주치는 에디터와 에디터의 핫키가 중요하다는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그래서 저도 NotePad++가 편리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AcroEdit로의 복귀를 준비하고 있는 듯합니다. – likesam

두 분을 뵌적은 없지만 여러 곳에서 활약하시는 모습을 잘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커멘트를 써 주셔서 영광입니다. Help 페이지는 제 Wiki에서 몇 자 써 보다가 잘 되면 KTUGFaq로 옮기려는 생각입니다만… – [김영욱]

내용 잘 읽었습니다. KTUG FAQ wiki의 연결고리를 통해 이곳에 왔습니다. – Progress

저도 잘 보았습니다. 현재 KTUG FAQ Wiki의 연결고리와 끊겨 있어 몇번 시도 끝에 왔는데, 참 다행입니다. 귀한 경험 잘 들었습니다. – 유현